2025년 2차 민생회복지원금 신청이 곧 시작됩니다. 이번 지원금은 가구 소득과 자산 기준에 따라 지급 대상이 결정됩니다. 내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면, 이 글에서 알려드리는 방법으로 쉽게 확인해 보세요. 핵심 정보를 중심으로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목차
1. 지원 대상은 누가 되나요?
2차 민생회복지원금은 **소득 하위 90%** 가구에 지급됩니다.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
- **가구 소득 기준:** 2025년 6월 건강보험료 합산액을 기준으로 합니다.
- **고액 자산가 제외 기준:** 재산세 과세표준과 금융소득 합계액을 기준으로 합니다.
2. 가구 소득 기준: 건강보험료로 확인하기
가구의 **2025년 6월 건강보험료(본인부담금, 장기요양보험료 제외)** 합산액을 기준으로 지급 대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아래 표에서 우리 가구의 가구원 수와 건강보험료를 비교해 보세요.
외벌이 가구 - 민생회복 소비쿠폰 기준표
※ 건강보험료는 본인부담금만 해당하며,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됩니다.
가구원 수 | 건강보험료 기준액 (단위: 원) | ||
---|---|---|---|
직장 | 지역 | 혼합(직장+지역) | |
1인 | 220,000 | 220,000 | - |
2인 | 330,000 | 310,000 | 330,000 |
3인 | 420,000 | 390,000 | 420,000 |
4인 | 510,000 | 500,000 | 520,000 |
5인 | 600,000 | 590,000 | 620,000 |
6인 | 690,000 | 670,000 | 730,000 |
7인 | 780,000 | 740,000 | 850,000 |
8인 | 850,000 | 800,000 | 930,000 |
9인 이상 | 930,000 | 860,000 | 1,050,000 |
10인 이상 | 1,050,000 | 960,000 | 1,230,000 |
다소득원 가구(맞벌이 등) 기준표
다소득원 가구는 **'가구원 수 + 1명'**의 특례가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맞벌이 부부 2명이 포함된 4인 가구라면, 건강보험료는 4인 가구 기준이 아닌 **5인 가구 기준**으로 적용됩니다.
가구원 수 | 건강보험료 기준액 (단위: 원) | ||
---|---|---|---|
직장 | 지역 | 혼합(직장+지역) | |
2인 | 420,000 | 390,000 | 420,000 |
3인 | 510,000 | 500,000 | 520,000 |
4인 | 600,000 | 590,000 | 620,000 |
5인 | 690,000 | 670,000 | 730,000 |
6인 | 780,000 | 740,000 | 850,000 |
7인 | 850,000 | 800,000 | 930,000 |
8인 | 930,000 | 86,000 | 1,050,000 |
9인 이상 | 1,050,000 | 960,000 | 1,230,000 |
3. 고액 자산가 제외 기준 확인하기
소득이 낮더라도 고액 자산가로 분류되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 다음 두 가지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.
- **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 초과**
- **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,000만 원 초과**
※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은 공시가 기준(1주택자)으로 약 26억 7,000만 원에 해당합니다. 금융소득 2,000만 원은 이자율 연 2% 가정 시 예금 10억 원, 배당수익률 2% 가정 시 투자금 10억 원 수준입니다.